[졸업] 2021-2학기 학부 졸업시험 신청자 대상 안내 (비대면 시험 관련)
교육학과 사무실입니다.
▶ 일시 : 12월 3일 (금) 18:00~20:00
1) 금학기 졸업시험은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하여 비대면(온라인)으로 시행됩니다.
2) 각 과목 당 주어진 시간은 30분입니다.
▶ 응시방법
1) 첨부한 엑셀파일에 본인 학번을 확인하여 신청여부와 응시과목 순서를 확인 바랍니다.
부정행위 방지를 위하여 신청순과 관계없이 시험이 진행됩니다.
신청이 누락되거나 신청과목과 차이가 있을 경우, 메일(munjh97@cau.ac.kr) 또는 전화(02-820-5362)로 문의
2) 부정행위 방지를 위하여 ZOOM 링크에 접속하여 학생증과 본인임을 확인 후 문제를 배부토록 하겠습니다.
시험 응시 중 zoom은 비디오만 켜놓고(부정행위 방지 목적) 오디오는 음소거로 설정 바랍니다.
본인 확인 절차 등을 위하여 시험 시작 시간(18시)보다 여유있게 미리 접속하시길 바랍니다.
|
3) 답안은 각 응시과목 당 30분마다 송부하셔야 합니다.
|
메일 제목 통일 및 답안지 첨부하여 수신자(학부조교) 설정하여 시간 내로 메일을 송부하시면 됩니다.
제출 마감시간까지 메일이 도착하여야 하며 제출 마감시한보다 늦게 도착한 경우 해당 시간을 체크하여 감점 또는 결시 될 수 있으니 유의 바랍니다.
▶ 시험범위 및 힌트
교육철학
(이성호 교수님 출제) |
1. 형이상학, 인식론, 가치론 이상 세 가지 영역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시오.
2. 교육을 과학적으로 탐구한다는 것의 의미를 짧게 기술하시오.
|
교육심리학
(안도희 교수님 출제) |
교육현장에서의 교육심리학 적용방안 |
교육공학
(송해덕 교수님 출제) |
교수설계
|
교육평가
(설현수 교수님 출제) |
1. 한국 교육평가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대해서 본인의 의견을 중심으로 서술 하시오.
|
교육행정학
(김이경 교수님 출제) |
교육행정학의 다양한 주제 가운데 “교육정책 과정과 정책결정모형”에 관한 장을 읽고 교육정책결정 모형들의 특징을 이해하시기 바랍니다. 이어서, 특정 교육정책을 예를 들어 이 정책의 결정과정을 설명하는 데 가장 적합한 모형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세요.
|
교육사회학
(송혜정 교수님 출제) |
학교효과 학교효과 연구의 배경과 특징 학교효과 연구의 결론 학교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?
|
평생교육론
(이희수 교수님 출제) |
성인학습 이론(내용, 발달 배경, 학자)에 대해 살펴보세요.
|
학교상담론
(김동민 교수님 출제) |
|